부동산 경매를 공부하면서 나름 권리분석을 했던 물건들 중에 아파트만 따로 정리를 해봤다. 지금까지 세 군데 정도의 지역을 정리를 했는데 지역별 낙찰가가 현저히 차이가 나는 모습을 보였다. 지속적으로 정리를 한다면 지역별 부동산 흐름을 알 수 있을 것 같다.
먼저, 2018년 8월 서울특별시 성북구 및 강북구의 경매 물건들 중에 낙찰된 물건들에 대해 올리려고 한다. 이들 지역에서 아파트 매수를 고려하는 사람들이라면 낙찰가를 통해 대략적인 (급매) 시세를 파악할 수 있을 것 같다. 혹시 나중에 '불허가' 또는 '미납' 등이 발생하면 내용을 수정하겠다. 그런데 입찰자수를 보니 아파트는 그런 경우가 거의 발생하지 않을 것 같다.
1. 2017타경11407
성북구 돈암동 삼성아파트
전용면적 84.59
감정가 396,000,000원
낙찰가 431,988,100원
낙찰가율 109.09%
입찰자수 5명
2. 2017타경11941
성북구 정릉동 정릉힐스테이트
전용면적 84.92
감정가 492,00,000원
낙찰가 536,999,999원
낙찰가율 109.15%
입찰자수 24명
3. 2018타경3793
성북구 돈암동 일신휴먼빌아파트
전용면적 117.16
감정가 530,000,000원
낙찰가 538,798,000
낙찰가율 110.15%
입찰자수 16명
4. 2017타경10459
강북구 미아동 벽산라이브파크
전용면적 114.68
감정가 455,000,000
낙찰가 443,470,000
낙찰가율 97.47%
입찰자수 19명
5. 2017타경106329
강북구 미아동 미아현대아파트
전용면적 84.91
감정가 400,000,000
낙찰가 406,878,000
낙찰가율 101.72%
입찰자수 7명
1번을 제외한 나머지 물건들은 1회 유찰된 물건들이었다.
1~3번 물건들의 낙찰가율이 거의 110%에 달하는 것을 보면,
유찰되기 전에 입찰했으면 더 좋았을 것 같다.
2~4번 물건들은 입찰자수가 15명 이상으로 경쟁률이 높다.
높은 낙찰가율과 경쟁률은 시세상승을 반영하는 것 같다.
1번과 5번 물건은 입찰자수가 적은 편인데,
임차인이 존재하기 때문인 것 같다.
그런데 하나는 위장임차인으로 추정되며,
다른 하나는 소유자 및 채무자의 배우자이므로
무시하고 입찰한 것 같다.
개인적으로 관심이 있었던 물건은 4번이다.
솔샘역에서 가깝고 숲세권으로 보였기 때문이다.
그런데 낙찰가율은 가장 낮다.
다른 투자자들은 다르게 봤던 것 같다.
'45FI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애드센스 두 번째 100달러 달성 & 티스토리 블로그 저품질 탈출기 (16) | 2020.08.04 |
---|---|
코로나 이후 명동 상가 공실 현황 & 코로나 이전 종로 상권 공실 현황도 추가 (2) | 2020.04.30 |
[2019타경4244] 중구 신당동 오피스텔 신당아르브 (2) | 2020.04.05 |
[경매] 2019년 2월 서울 아파트 낙찰가 (0) | 2019.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