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내돈내산

 

지난 강원도 속초 여행에서 지냈던 곳이다. 청초호베스트호텔이라는 이름처럼 속초 청초호 인근에 있다. 글을 작성하는 시점에 국내의 한 숙박앱에서 검색해보니까 이번 달 평일(목-금) 가격을 검색해보니까 91,619원으로 나온다. 프라임 트윈 레이크뷰 기준이다. 나는 지인 찬스로 무료로 이용했다. (지인 회사 이벤트로 이용) 가장 저렴한 방은 클래시 더블로 42,940원이다.

 

카카오맵의 청초호베스트호텔 정보

 

처음에는 마리나베이로 운영한 것으로 알고 있다. 지금은 같은 건물을 청초호베스트호텔과 마리나베이에서 운영 중이다.

 

 

청초호베스트호텔 위치 - 카카오맵

 

속초 청초호베스트호텔은 속초고속버스터미널에서 그리 멀지 않다. 강원도에 다녀올 때 마다 느끼는 거지만 운전하기 힘들다. 운전하기 귀찮다며 버스를 타고 가서 이용하기 좋은 위치다. 이마트도 걸어서 갈 수 있다.

 

 

청초호베스트호텔 인근 무료 주차장 위치 - 카카오맵

 

위 지도는 청초호 베스트호텔 인근의 무료 공영주차장을 표시한 것이다. 빨간색 원으로 표시한 곳으로 화살표 입구이다. 청초호베스트호텔 지하에도 주차장이 있지만 성수기에는 공간이 부족한 것 같았다. 내가 갔을 때는 9월로 성수기는 아니었지만... 진입로와 진출로가 같고 곡선형이기에 출차할 때 들어오는 차가 있으면 난감할 것 같았다. 그래서 마음편히 인근 공영주차장(무료)에 주차를 했는데 후회했다.

 

체크아웃을 하고 집으로 돌아오는 날에 차를 대충 확인해보니까 새똥을 맞은 듯한 흔적도 있었고 본넷 위에는 갈색 자국과 정체모를 가루들이 약간 있었다. 담뱃불을 비벼 끝거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내가 나름 좋은 위치에 주차를 했는데 원래 그곳에 즐겨 주차를 하던 사람이 보복을 한 것 같기도 했다. 망상일 수도 있지만 딱 보자마자 그런 느낌이 왔다. 가급적 호텔 지하에 주차를 하길 바라고, 성수기에 자리가 없다면 어쩔 수 없이 공영주차장을 이용해야 할 것이다.

 

 

청초호베스트호텔 객실 사진들

 

 

프라임 트윈 레이크뷰는 싱글 침대 하나와 더블 침대 하나가 있어서 최대 3인까지 이용 가능하다. 더블 침대와 싱글 침대 사이에 중문 비슷한 것도 있었다.

 

 

 

더블 침대의 모습이다. 창문으로 청초호가 보인다.

 

 

 

창문을 열고 찍었다. 저쪽 가운데 부분이 공영주차장이다. 모바일 화면에서 잘 보일지 모르겠는데 도로에도 공영주차장 방향이 표시되어있다.

 

 

 

정면을 찍은 사진이다. 청초호다. 이날따라 구름이 인상적이었다.

 

 

 

이거슨 간이완강기이다. 여행을 갔을 무렵 경기도 어느 지역이었던가. 호텔에서 큰 화재가 났던 것으로 기억한다. 그래서 완강기 등을 신경써서 확인했다.

 

 

 

TV와 싱크대, 세탁기, 인덕션 등이 보인다. 인덕션은 사용불가였던가. 취사불가였는지 잘 기억이 안 난다. 드럼세탁기 오른쪽에 냉장고가 숨어있다.

 

 

 

싱글 침대와 의자, 테이블 등이다.

 

 

 

화장실이다. 기본적인 것이 있었다.

 

 

 

요즘 환경보호를 위해 호텔 등에서 어메니티 제공을 자제하면서 뭐를 준비해서 가야하나 찾아보게 된다. 청초호베스트호텔에는 샴푸, 바디워시, 비누 등이 있었다. 치약, 칫솔은 없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그리고 뭐 하나가 부족한 것 같아서 마침 복도에 있는 청소하시는 분께 물어봤는데 객실물을 확인하더니 자기는 마리나베이 담당이라고 청초호베스트호텔에 물어보라고 했다. 그다지 중요한 것이 아니라서 그냥 넘어갔다.

 

 

 

비상대피도이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다른 지역에서 화재 사고가 있었던 후라 확인했다. 참고로 엘리베이터가 4대가 있다. 한쪽에는 1대뿐인데, 다른쪽에는 3대나 있다. 나는 그걸 몰라서 1대만 이용을 했다. 1층 로비였던가 혼잡할 경우 다른 쪽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라는 안내문도 있었던 것 같다.

 

 

 

소화기가 있는 곳이다.

 

 

 

도착하자마자 1층 편의점에서 구입한 것들이다. 편의점에서도 약간의 에피소드가 있었으나 생략한다.

 

 

 

호텔 옥상에서 찍은 사진이다. 옥상으로 올라갈 수 있다. 포토존도 있었던 것 같고...

 

 

 

옥상에서 찍은 청초호이다.

 

 

 

저~~ 뒤쪽으로는 동해 바다이다. 사진 오른쪽으로 이마트도 보인다. 역시 구름이 인상적있다.

 

 

 

속초에 왔으니 만석닭강정에 가서 닭강정을 포장해왔다. 청초호베스트호첼에서 만석닭강정 엑스포 본점까지 도보 7분 거리이다. 그래서 그냥 걸어서 다녀왔는데 후회했다. 그냥 차 타고 갔다올껄...

 

 

 

만석닭강정 순살 보통맛이다. 속초에 왔으니 안 먹고 가긴 아쉬워서 먹었다.

 

 

화진포 해수욕장 등

 

 

그렇게 자주는 아닌데 강원도 속초에 나름 자주 와서 그런지 이제는 특별히 가고 싶은 곳이 없었다. 그나마 좋아하는 곳이 고성에 있는 화진포 해변이라서 화진포 해변에 갔다.

 

 

 

성수기가 지난 평일이라 조용했다.

 

 

 

해변에 있는 동안 4~5팀 정도 여행객들을 봤다. 작년에 왔을 때는 서핑 강습을 받는 사람들도 있었는데... 이날엔 없었다.

 

 

 

한 가족은 모두 검은색 계통의 옷을 입고 있었다. 인근 장례식장에 다녀오는 길 같았다.

 

 

 

 

 

 

 

다른 해변

여행의 마지막날... 돌아가기 전에 봉포해변과 천진해변 사이에 갔다. 

 

 

 

 

 

 

그저 해변을 잠깐 걷고 바다를 한참 보다가 집으로 출발했다. 작년에도 그랬고 올해도 그랬는데, 강원도 여행을 와서 컨디션이 급격히 안 좋아졌다. 번아웃인지... 긴장이 풀려서 그런지... 나이가 들어서 그런지 모르겠다. 속초에 와서 한 일은 별로 없지만... 내년에도 갈거 같다.

 

아, 그리고 이번 여행에서 지방 소멸을 느꼈다. 예전에 갔던 맛집들이 하나둘 사라졌다. 엔데믹 때문일까.

 

https://place.map.kakao.com/1630210537

 

청초호베스트호텔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청초호반로 28 마리나베이 1층 (조양동 1558-2)

place.map.kakao.com

 

728x90
반응형

치앙마이 두리안

이번 글에서는 지난 겨울의 치앙마이 여행에서 두리안을 먹었던 것에 대해서 쓴다. 그 전에도 몇 번 치앙마이에 갔다왔는데 두리안에 대해서는 별 관심이 없었다. 그저 냄새가 지독한 과일로만 알고 먹을 생각도 안 했다. 그러다 두리안의 매력에 대해 알게 됐고, 지난 여행에서는 망고보다 두리안을 찾아다녔다. 가격만 비싸지 않았다면 1일 1망고가 아닌 1일 1두리안을 하고 싶을 정도였다.

 

치앙마이에서 만날 수 있는 두리안은 생두리안과 건두리안으로 나눌 수 있다. 건두리안은 건망고 등을 파는 와로롯 시장을 추천한다. 그 외에 대형 마트에서도 살 수 있는데 무게 당 가격이 와로롯 시장보다 훨씬 비쌀 것이다. 하지만 와로롯 시장도 그저 저렴하기만 한 것은 아니었다. 와로롯 시장에서 건두리안을 살 때 교활한 할매한테 당했는데, 그때 당한 것이 끝이 아니고 귀국해서 뒤통수를 씨게 맞았다. 그나마 순화해서 할매라고 했지 사실 교활한 ㅎㅁㄱ라고 하고 싶을 정도다.

 

생두리안은 므엉마이 시장을 추천한다. 중국 관광객들도 대형 버스를 타고 와서 먹을 정도였다. 구글 지도에는 므앙마이 시장도 나오고 므엉마이 시장도 나오는데, 므앙마이는 생선 등 파는 쪽 같고, 므엉마이가 과일 도매 시장 같다. 므엉마이 시장 외에 와로롯 시장 바깥의 노점에서도 생두리안을 만났고, 규모가 큰 빅씨마트에서도 구입했다. 빅씨마트 자체에서 파는 것은 아니고 빅씨마트가 있는 쇼핑몰 건물 1층의 작은 가게에서 생두리안을 팔았다. 그리고 올드타운 남쪽 게이트 인근 야시장에서도 판다는 글을 봤는데 가볼 기회가 없었다.

 

치앙마이 지도 - 구글지도

 

왼쪽의 마야몰에도 두리안이 있을 것 같은데, 마야몰에 한 번 갔을 뿐 두리안을 찾으러 간 것이 아니라서 모르겠다. 므엉마이 시장은 지도를 크게 하면 안 나와서 와로롯 시장 위쪽에 표시한 곳에 있다. 그리고 내가 두리안을 샀던 빅씨마트도 표시했다.

 

므엉마이 시장 두리안

므엉마이 시장은 과일 도매시장이 있는 곳이다. 여기에 두리안을 파는 큰 가게가 두 개 붙어 있다. 치앙마이 망고 원정대도 므엉마이 시장에 간다. 두리안 뿐만 아니라 망고, 망고스틴 고르는 방법도 적어보겠다. 대단한 것은 아니고 그냥 내가 경험한 일로 다음에 가면 안 당하고 싶은 이야기다.

 

므엉마이 시장 - 구글지도

 

므앙마이 시장을 찍고 택시(볼트나 그랩)를 타고 가면 바로 과일 가게들이 많이 보일 줄 알았는데 오산이었다. 생두리안을 쌓아놓고 파는 가게는 므엉마이 시장 과일가게 거리라고 표시한 곳 근처이다. 내가 택시에서 내린 곳은 왼쪽에 작은 원으로 표시한 곳... 날도 더운데 생선들을 파는 곳을 지나가야했다. 므엉마이 시장에 과일을 사러 간다면 처음부터 과일시장이나 과일가게 거리를 찍고 가길 바란다.

 

므엉마이 시장 - 두리안 가게

 

대형 두리안 모형이 있다. 나는 남쪽에서 북쪽으로 걸어가다가 이 가게부터 만났는데 이 가게에는 이미 손질을 해서 포장해 놓은 두리안들도 있었다. 그런데 300~400바트로 비싸 보여서 조금 더 위쪽으로 올라가서 다음 가게로 갔다. 나중에 알았는데 어차피 200바트라고 적혀있는 것은 껍질을 까기 전에 kg당 가격인거 같고 손질을 하고 나서는 300~400바트 정도 하는게 맞았다.

 

두리안들

 

두리안들이 엄청 많이 쌓여있었다. 작은 걸로 하나 까도 300~400바트인데, 저게 다 얼마일지... 요즘 환율이 올라서 1바트에 40원이 넘던데, 300바트면 12,000원, 400바트면 16,000원이다. 당시에는 비싸게 느껴졌는데 요즘 우리나라도 과일값이 엄청 오른 것을 생각하면 1일 1두리안이나 1일 2두리안을 하고 오지 않은 것이 후회된다.

 

 

하나 깐 두리안 - 340바트

 

1~2kg 정도 되는 두리안을 골랐을 것이다. 껍질을 까고 나니까 이만큼 나왔다. 역겨운 냄새는 전혀 나지 않았고 너무 맛있어서 순식간에 먹었다. 참고로 당시 결제는 스캔(하나머니 GLN)으로 했는데, 요즘은 치앙마이에서 전체적으로 스캔 결제가 안 된다는 글도 본거 같다. 확인해보길 바란다.

 

 

 

이렇게 순식간에 먹어버리고... 하나 더 시키고 사진을 찍었다.

 

 

 

두리안 뒤쪽 도로가 차가 다니는 도로인데 두 번째 접시를 먹을 때 관광버스 두 대가 서더니 중국 관광객들이 내렸다. 아무튼 두리안 뒤쪽에서 두리안을 고르거나 작은 걸로 하나 달라고 말하거나 하면 적당히 익은 것을 골라서 손질해준다. 손으로 먹을 수 있게 비닐장갑도 준다. 위 사진 아래쪽에 두리안 껍질들이 보이는데 엄청 두껍다. 크기에 비해 양이 별로 안 된다는 뜻이다.

 

 

도로변에서 찍은 사진

 

저 앞쪽에 200이라고 적혀있다. 껍질 포함한 무게로 킬로당 200이라는 뜻 같았다.

 

 

맛있는 두리안들

 

가시들이 엄청나다. 손질하는 사람도 한 손에 진짜 두꺼운 장갑을 끼고 두리안을 골라 손질해준다. 강 훈련사가 무는 개들을 훈련시킬 때 쓰는 장갑만큼 두꺼운 장갑이다.

 

 

두번째 접시 - 380바트

 

처음 먹어본 생두리안이 너무 맛있어서 바로 하나 더 주문했는데...

 

 

 

역시 순식간에 발라 먹었다. 너무 맛있어서 저 씨앗에 1g도 안 남아있도록 열심히 먹었다. 중국 단체 관광객들이 안 왔더라면 한 접시 더 먹었을 것 같다.

 

 

가게 뒤쪽의 두리안들

 

다음에 또 치앙마이에 갈 기회가 있다면 저런 바구니로 한 바구니는 먹고 오고 싶다.

 

 

처음 갔다가 패스한 옆가게

 

처음 갔던 가게를 그냥 지나쳤는데 저기로 갔어도 나쁘지 않았을 것 같다.

 

 

https://maps.app.goo.gl/Bb4jJmiGgdvomnFk8

 

므엉마이시장 과일가게 거리 · QXWX+QVC, Wang Sing Kam Rd, Tambon Chang Moi, Mueang Chiang Mai District, Chiang Mai 5

★★★★☆ · 식료품점

www.google.co.kr

 

 

므엉마이시장 - 다른 과일들 (망고, 망고스틴, 용과 등)

 

므엉마이 시장 거리

 

과일 가게들이 쭉 있는 거리가 아니다. 잘못 찾아오면 이런 길을 지나가야 한다. 아무튼 여기 저기 돌아다니다가 다른 과일들도 샀는데, 용과 빼고 다 실패했다.

 

 

용과들 - 180바트

 

1kg 당 가격은 모르겠고 비닐에 포장된 것으로 130바트, 180바트 등이 있었다. 용과는 그냥 무난했다.

 

 

망고 - 150바트

 

망고는 kg당 40~60바트 정도 하는 것 같다. 나는 35바트인가 45바트가 적힌 곳에서 샀는데, 숙소에 돌아와서 보니까 그만큼 상태가 안 좋은 것이었다. 너무 많이 익은 것이라고 해야 할까. 나처럼 무조건 저렴한 것으로 사지 말고 적당한 가격에 상태가 좋은 것을 고르는 것이 좋을 것 같다.

 

 

망고스틴 - 130바트

 

kg당 가격은 모르겠고 130바트만큼 구입했다. 역시 다른 곳보다 저렴해서 샀는데 숙소에 와서 먹다가 잘못 샀다는 것을 알았다. 망고스틴은 무조건 알맹이가 큰 걸로 사야했다. 껍질이 엄청 두꺼워서 작은 크기는 껍질을 까면 먹을 것이 얼마 안 남았다.

 

 

와로롯 시장

와로롯 시장에는 건망고와 건두리안을 사러 갔다. 사고 나오는 길에 노점에서 생두리안을 팔아서 사왔다. 

 

와로롯 시장 인근 노점의 두리안 - 320바트

 

한 팩에 320바트씩 두 팩을 사왔다. 므엉마이 시장까지 갈 여유가 없다면 여기 저기 돌아다니다가 이렇게 팩으로 파는 것이 보이면 300~400바트 정도에 사먹어도 괜찮을 것 같다.

 

 

 

므엉마이 시장에서 바로 까서 먹었던 것과 비교해보니까 상태는 조금 안 좋아보이지만 양은 더 많아 보인다.

 

 

와로롯 시장에서 구입한 건망고들

 

치앙마이 여행에서 해야 했던 일 중 하나가 선물용으로 건과일을 사오는 것이었다. 건망고 20개, 건두리안 20개를 샀다. 한 군데서 다 사면 비싸게 살 수도 있어서 한 군데에서 건망고 10개, 건두리안 10개를 사고, 또 다른 가게에 가서 건망고 10개, 건두리안 10개, 건망고스틴 4개를 샀다.

 

첫번째 가게

건망고 500g 10개, 건두리안 170g(?) 10개

총 3,100바트

 

두번째 가게

건망고 500g 10개, 건두리안 190g(?) 10개, 망고스틴 4개

총 4,000바트

 

많이 사면서 흥정을 해서 개별 가격은 잘 기억나지 않는다. 첫번째 가게에서 교활한 할매의 말장난에 약간 당하기도 해서 더 기억나지 않는다. 아무튼 건망고는 500g에 130~160~180바트 정도. 건두리안은 200바트 미만이었다. 아래쪽에 나중에 적겠지만 건두리안은 무게당 가격이 의미가 없다. 무조건 많이 들어있어 보이는 것을 싸게 사야한다.

 

가게 마다 저울이 있으니 건망고가 500g이 맞는지 확인 가능하다. 건두리안도 대략 무게를 확인할 수 있다. 아무튼 첫번째 가게에서 말이 잘 안 통하는 할매와 계산기로 소통을 했는데 건두리안 한 팩에 계산기에 170을 찍고 190을 찍었다가 170을 찍길래 170g 짜리가 원래 190바트인데 170바트에 주는 줄 알았는데, 10개씩 사려고 하니까 190바트라고 하고 많이 사는데도 서비스 하나 없었다. 그 자리에서 바로 치우라고 하고 돌아섰어야 했는데 그러지 못했다. 그래도 건망고까지 생각하면 그렇게 비싸게 산건 아니었는데... 뒤통수를 씨게 맞았다.

 

두번째 가게는 일부러 찾아갔던 것은 아닌데 예전에 갔던 젊은 청년의 가게였다. 내가 일 년 전에도 왔었다고 말했는데 알아들었는지, 그 전에 나를 알아본 것인지 200g짜리 건두리안을 200바트라고 했다가 바로 170바트로 내렸었나. 아무튼 서비스도 주고 나쁘지 않았다. 나도 그렇게 깎고 싶은 마음이 없었다.

 

사실 원래 가려고 했었던 가게는 따로 있었다. 내가 치앙마이에 있을 무렵 네이버 카페에 올라온 글에서 와로롯 시장 여자화장실 근처 눈이 잘 안 보이는 여자가 건망고를 130바트인지 저렴하게 판다는 내용을 봤다. 그래서 거기로 가고 싶었는데, 찾지 못했다. 아니, 대략 찾은 것 같았는데 인터넷에 올라와서 우리나라 사람들이 많이 찾아갔는지 사람들이 북적북적해서 다른 가게로 가다가 우연히 또 두번째 가게로 갔던 것이다.

 

 

건망고스틴

 

 

건두리안

 

교활한 할매한테 산 것이다. 개당 170g이었나.

 

 

건망고 - 젊은 총각 가게에서 산 건망고

 

어느 글에서는 GOOD 이라는 스티커가 붙은 것이 품질이 좋다고 그걸로 사라고 하던데 별 의미는 없는 것 같다. 시간이 많다면 와로롯 시장 1층 건과일 파는 곳을 구석구석 두세 바퀴 돌아다녀보라. 한쪽 구석에서 건망고를 잔뜩 쌓아놓고 열심히 무게를 재면서 진공 포장하는 모습을 볼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어디선가 건망고에 방부제 처리를 많이 한다는 글도 봐서 앞으로는 건망고는 그렇게 많이 사지 않을 생각이다.

 

 

와로롯시장의 건두리안들

 

190g인지 200g인지 젊은 총각한테 산 것이다.

 

 

빅씨마트 엑스트라 쇼핑몰의 두리안

정확한 명칭은 Big C Extra Chiangmai 2일 것이다. 치앙마이 마트에서 세금환급을 받을 수 있는 곳이 두 군데 있다고 봤는데 그중 하나가 여기일 것이다. 실제로 세금환급도 받았는데 그 내용은 다른 글에 쓰려고 한다. 

 

여기에 가면 1층이었던가. 작은 가게에서 두리안을 판다. 

 

빅씨마트 두리안 - 300바트

 

 

 

마트라서 역시 저렴하다고 생각하면 큰 오산이다. 두리안은 익을수록 단맛이 없어지고 쓴맛이 나는지 빅씨마트에서 사온 두리안은 쓴맛이 났다. 쓴맛이 나면 썩은거라고 해야 하나...

 

미처 사진은 못 찍었는데 정육점 같은 곳에서 볼 수 있는 투명한 냉장고 같은 것에 두리안들이 있었다. 3단 짜리였나.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내려갈수록 저렴한 가격이 붙어있었다. 아무 생각없이 가운데 층에 있는 적당한 두리안을 골랐는데 계산기를 두드려서 보여주는 가격이 900바트가 넘었다. 알고 보니 붙어있는 가격이 한 팩당 가격이 아니고 100g당 가격이었나. 가장 위쪽이 싱싱한 것, 그 아래층은 그 다음, 가장 아래층은 거의 폐기 직전인 것 같았다. 가장 아래층 것을 골라서 사왔던가 잘 기억나지 않는데... 300바트에 저만큼의 양이니 맛이 쓸 수 밖에 없었다.

 

 

뒤통수 씨게 맞은 이야기

귀국해서 와로롯 시장 할매한테 뒤통수를 씨게 맞은 것을 알았다. 한 대도 아니고 두 대, 두 대도 아니고 세 대 맞았다. 아까도 적었지만 와로롯 시장에 가게마다 저울이 있어서 건망고 무게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건망고 500g짜리 10팩을 산다고 하면 10팩을 그냥 포장해주는데, 그 10팩이 모두 500g인지는 모른다. 하나씩 무게를 재지 않는 이상. 아니면 한번에 총 무게를 재지 않는 이상.

 

한국으로 돌아와서 마침 집에 저울이 있어서 건망고, 건두리안의 무게를 측정했다.

 

건두리안 - 하나는 100g, 하나는 172g

 

건두리안은 170g 짜리와 190g인가 200g짜리만 사고, 서비스도 안 받았는데 왜 100g짜리 건두리안이 들어있나...

교활한 할매한테 뒤통수 한 대 맞았다.

 

 

다른 건두리안들의 무게

 

 

 

이거는 195g이다.

 

 

첫번째 가게 건망고는 정직하게 500g 초과

 

 

건망고 251g

 

서비스 받은 것도 없는데 251g짜리 건망고가... 교활한 할매한테 뒤통수 두 대 맞았다.

 

 

GOOD 붙은 건망고

 

두번째 가게에서 산 건망고 역시 500g 초과.

 

 

건두리안의 숨겨진 진실

 

건두리안을 뜯었더니 안쪽에 실리카겔 제습제가 잔뜩 들어있었다. 건두리안에 가려서 안 보이는 위치에... 적게는 3개에서 많게는 4개까지 들어있었다. 건두리안에 습기가 차면 안 되니까 넣을 수는 있지만 너무 많았다.

 

 

실리카겔 제습제의 무게

제습제 또는 방부제 하나의 무게는 17g이다.

 

 

제습제 4개의 무게 - 70g

 

실리카겔 4개면 70g이다. 위 사진에는 머리카락도 하나 찍혔는데 뒤통수 세 대째 맞으면서 떨어졌나보다.

 

170g 짜리 건두리안에 제습제 3개면 실제 건두리안 무게는 119g 미만

200g 짜리 건두리안 건두리안에 제습제 4개면 실무게는 130g 미만

 

 건두리안은 무게에 집착할 필요가 전혀 없던 것이었고 그저 눈으로 보기에 많이 들어있는 것을 적당한 가격에 사면 된다. 그래도 와로롯 시장이 마트의 포장된 제품보다 훨씬 저렴하다. 마트에서 파는 건두리안은 40g도 안 들은 것도 있다.

 

 

와로롯 시장 생두리안 파는 곳

와로롯 시장 인근 두리안 파는 곳

 

와로롯 시장에서 위 지도에 표시한 것처럼 핑강 쪽으로 가는 길에 있었다.

 

 

와로롯 시장에서 핑강가는 길 로드뷰 - 구글지도

 

로드뷰로도 과일가게가 보인다. 오른쪽 로드뷰는 처음에는 두리안인줄 알았는데 두리안을 저렇게 많이 팔리는 없을 것 같고 다른 과일 같다. 아무튼 나는 왼쪽 로드뷰에 보이는 가게에서 샀다.

728x90
반응형

석관동 두산 위브 아파트

 

중랑천 건너편에서 바라본 석관동 두산 위브 아파트의 모습이다. 위 사진이 보이는 아파트가 모두 석관동 두산 아파트는 아니고 오른쪽 끝부분은 월계동 한진한화그랑빌 아파트이다. 석관동 두산 위브 아파트에 관심을 가기게 된 계기는 지하철역에서 매우 가깝기 때문이었다. 1호선과 6호선이 지나는 석계역의 그냥 역세권도 아니고 초역세권 아파트로 지하철역 출구에서 아파트 입구까지 1분도 안 걸린다.

 

 

성북구 석관동 범위 - 카카오맵

 

성북구 석관동은 6호선 돌곶이역과 석계역 남측으로 있다. 석관동 북쪽으로는 유명한 장위뉴타운이 있다. 석관동 남쪽으로는 이문-휘경 뉴타운이 보인다.

 

 

석관동 두산아파트 위치

 

두산 위브 아파트로 알고 있었는데 지도에 따라 그냥 간단하게 두산아파트라고 나오기도 한다. 위 지도에서 알 수 있듯이 석계역 4번 출구와 5번 출구에서 아파트 단지가 매우 가깝다. 임장을 갔을 때 4번 출구에서 두산아파트로 갔는데 정말 금방이었다. 아파트 주민들은 몇 번 출구를 주로 이용할지 모르겠다. 6호선을 타고 출퇴근을 한다면 4번 출구로 갈 것 같은데, 1호선을 주로 이용한다면 6번 출구로 갈 것 같기도 하다.

 

석계역 초역세권 외에 오른쪽으로 중랑천이 보이는 것도 장점이다. 중랑천 건너편으로는 장미공원도 있다. 위 지도에는 초등학교가 안 보이는데 성북종합레포츠타운 아래쪽으로 석계초등학교가 있다. 네이버부동산에서는 아파트 단지에서 학교까지 '4분'이라고 나온다.

 

 

 

석계역 4번 출구로 나와서 조금 걷다가 찍은 사진이다. 바로 뒤쪽으로 두산아파트가 보인다.

 

참고로 석관동 두산아파트는 총 1,998세대 25개동이 있다. 최고층은 25층, 주차대수는 세대당 1.09대이다. 나름 대단지 아파트라서 주출입구 외에 부출입구도 3개나 있었다.

 

 

석관동 두산아파트 상가동

 

주출입구 오른쪽으로 아파트 상가가 있었다. 상가도 조금 둘러볼까 했는데 상가를 보러 온 것도 아니라서 생략했다.

 

 

두산아파트 내 어린이집

 

그냥 단지 내를 한 바퀴 돌았는데 어린이집이 보였다. 서울시에서 운영한다고 붙어있는 것을 얼핏 봤는데 확실하지는 않다. 그 부분도 따로 사진을 찍으려다가 그냥 위 사진을 확대하면 보이겠지... 생각하고 안 찍었는데, 화질이 안 좋아서 확대해도 글자가 안 보인다.

 

 

 

최고층이 25층이라 사진상으로 봐도 높아 보인다. 평형은 공급 21평, 24평, 32평, 49평, 60평으로 다양하다. 이 사진에는 아래쪽 주차장이 널널한데 오전에 가서 그런거 같다. 당연히 지하주차장도 따로 있었다.

 

 

 

신기한 것은 단지 내 편의점이 있었다. 석관동 두산아파트에 몇 개월 전부터, 아니 1년 전부터 가보려고 했는데 계속 못 가다가 이번에 다녀왔는데, 이번에 가기 전에 지도를 자세히 보니까 뜬금없이 단지 안쪽에 편의점이 보였다.

 

 

 

단지 내 유치원도 있었다. 지금 카카오맵을 확대해서 보니까 단지 내 유치원 하나, 어린이집은 여섯 개나 보인다.

 

 

두산아파트 단지 내 편의점

 

지도에 세븐일레븐이 보여서 단지 안쪽에 작은 상가가 하나 더 있는 줄 알았는데 작은 건물 하나에 편의점만 있었다.

 

 

나가는 길

 

간략히 한 바퀴 돌고 나가는 길이다. 아직 단지 내에 있는 도로이다. 왼쪽으로 방음벽이 있고 지하철이 지나간다. 내가 걸어가는 동안에는 열차가 지나가는 소리가 안 들렸는데, 집중을 안 해서 못 들은 것인지... 안 지나간 것인지... 소음이 어느 정도 되는지 모르겠다. 아무튼 요즘 여기 저기 지하화를 추진한다는 말이 나오는데, 여기도 지하화가 된다면 더 좋아질 것 같다.

 

 

부출입구

 

앞쪽으로 보이는 길로 가면 석계역 5번 출구로 가게 되는데, 그냥 들어왔던 입구로 나가기로 했다.

 

 

석관동 두산아파트 종합안내도

 

특별한 것은 안 보인다. 그냥 몇 동이 어디에 있나 파악할 수 있는 용도일까.

 

 

석관동 두산아파트 상가

 

나가기 전에 상가 뒤쪽도 한 장 찍었다. 1998년에 지어진 아파트라서 그런지 상가에서는 세월의 흔적이 느껴진다.

 

 

 

석계교에서 찍은 사진이다. 아직 중랑천은 아니고 우이천이다. 우이천이 더 흘러가서 중랑천과 만나게 된다. 이런 산책로가 가까운 것도 장점이다.

 

 

 

석계교에서 반대편도 찍어봤다. 저기가 1호선 승강장처럼 보였다.

 

 

여기까지가 최근에 다녀와서 찍은 사진들이다. 아래부터는 이전에 중랑천에서 자전거를 타고 가다가 멈춰서 찍은 사진들이다.

 

 

중랑천 건너로 보이는 석관동 두산아파트

 

아파트 앞쪽으로 동부간선도로와 북부간선도로가 있어서 조금 복잡해 보였다.

 

 

월계 한진한화그랑빌 아파트

 

석관동 두산아파트 인근의 월계동 한진한화그랑빌 아파트이다. 여기는 3,003세대나 된다. 석관동 두산아파트보다 천 세대 가량 많다.

 

 

중랑천에서 찍은 두산아파트 모습

 

중랑천에서 이렇게 아파트가 보이니까 반대로 생각하면 아파트에서도 중랑천이 내려다 보일 것이다.

 

 

석관동 두산아파트 108동

 

왜 이렇게 108동을 찍었을까...

 

 

 

중랑천과 평행하게 놓인 두 개 동 사이로 보이는 동도 108동이다.

 

 

 

 

여기까지가 중랑천에서 바라본 두산아파트의 모습이었다.

 

 

시세 및 실거래가

 

석관동 두산아파트 24평 최근 5년 시세 및 실거래가 - 네이버페이 부동산

 

 

석관동 두산아파트 32평 A형 최근 5년 시세 및 실거래가 - 네이버페이 부동산

 

 

현재 네이버페이 부동산에 올라온 매물들을 살펴보니 24평형은 6.5~6.9억,  7.5억, 7.8억이 있었다. 전세는 딱 하나 있었는데 3.9억원이었다. 32평형은 7.2역, 7.5억, 7.7억, 7.9~8.1억이 있었고, 역시 전세는 하나 5.1억원이 있었다.

 

 

경매 낙찰가

네이버페이 부동산의 매물 시세와 비교하기 위해 최근 경매 낙찰가를 참고로 살펴보았다. 최근 1년 사이에 석관동 두산아파트에서 경매 두 건이 진행됐다. 모두 공급 32평형이었고, 감정가는 9억원대, 낙찰가는 7억원 정도였다. 

 

석관동 두산아파트 등 경매 내역 - 출처: 두인경매

 

 

첫번째 줄에 낙찰가가 2억원 대로 나오는 것은 선순위 임차인이 있기 때문이다. 인수하게 되는 전세금이 4억 7천만 원이라서 686,300,000원에 낙찰 받은 것과 마찬가지다. 지난 2월의 낙찰가와 큰 차이는 없다. 

 

작년 2월에는 108동의 경매 물건에 무려 73명이 입찰했었다. 아까 108동에 그렇게 집착했던 이유가 바로 이거였다. 그냥 108동의 중랑천 뷰는 어느 정도일까 궁금했다. 작년 12월에 진행된 107동의 경매 물건에는 딱 1명만 입찰했다. 전세금을 인수하기 때문에 그랬던 것 같다.

 

 

이렇게 둘러본 석관동 두산아파트는 실거주로 살기에 나쁘지 않아 보였다.

 

 

https://kko.to/9TxcB5MTu_

 

두산아파트

서울 성북구 화랑로48길 16

map.kakao.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