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지난 글이 2018년 8월 강북구 아파트 낙찰가다. 그동안 꾸준히 서울 지역 아파트 경매 물건 낙찰가를 정리했다면 데이터가 상당히 쌓였을 것이다. 그러나 5억이 넘는 서울 지역 아파트를 낙찰 받을 일이 없다보니 다른 물건들에 집중하면서 시간을 보냈다. 특히 9.13 대책 이후 부동산에 대한 관심이 크게 줄어들면서 경매 물건 검색도 더 소홀히 했던 것 같다.

그래도 이런 저런 물건들을 검색했는데, 지난 2월에는 서울 지역 아파트 물건들을 검색해봤다. 그리고 이제서야 낙찰가를 정리했다. 앞으로도 다른 물건들을 검색하면서 서울 지역 아파트 경매 물건을 정리하려고 한다. 시세 및 부동산 경기를 파악하기 위해서다. 

지난 2월 또는 3월 서울 아파트 경매 물건 낙찰가를 확인하면서 놀란 점이 여전히 감정가 대비 낙찰가 비율이 100%가 넘는 물건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부동산에 대한 관심이 많이 식었을 줄 알았는데 경매로 낙찰을 받는 사람들은 여전히 존재하는 것 같다.

아직은 데이터가 많이 쌓이지 않아서 서울 행정지역별로 무작위 순서다. 조금 더 데이터가 가까운 지역별이든 법원별이든 체계적으로 나누려고 한다. 낙찰가에서 천원 이하 단위는 오차가 있을 수도 있다. 일의 자리까지 정리를 했더니 표가 너무 길어져서 만원 미만은 생략했기 때문이다.

 

2015타경9077 서울 강동구 성내동 갑지하이린아파트 

전용면적 124.78 

경매개시일 2015-09-03

입찰기일 2019-02-25 

감정가 7억 200만원 

유찰 1회 

낙찰가 6억 372만원 86.00%

 

2018타경5218 서울 강북구 번동 번동솔그린아파트 

전용면적 59.82 

경매개시일 2018-05-17 

입찰기일 2019-02-25

감정가 2억 9천만원

유찰 1회 

낙찰가 2억 8377만원 97.85%

 

2017타경5972 서울 마포구 공덕동 371 공덕삼성아파트 

전용면적 84.94 

경매개시일 2018-08-16

입찰기일 2019-02-26

감정가 9억 5천만원

유찰 0회

낙찰가 9억 7230만원 102.35%

 

2018타경1015 서울 영등포구 문래동6가 38-1 베어스타운아파트 

전용면적 84.9 

경매개시일 2018-02-02

입찰기일 2019-02-20

감정가 5억 1800만원

유찰 0회

낙찰가 5억 9199만원 114.29%

 

2018타경1749 서울 구로구 개봉동 476 한마을아파트 

전용면적 123.46 

경매개시일 2018-03-06

입찰기일 2019-02-20

감정가 5억 5500만원

유찰 0회

낙찰가 5억 8330만원 105.10%

 

2018타경5116 서울 구로구 개봉동 476 한마을아파트 

전용면적 149.97 

경매개시일 2018-06-21

입찰기일 2019-03-26

감정가 5억 9200만원

유찰 1회

낙찰가 6억 1389만원 103.70%

 

2018타경6607 서울 구로구 신도림동 647 신도림5차 이-편한세상 

전용면적 84.789 

경매개시일 2018-07-26

입찰기일 2019-03-05

감정가 7억 4600만원

유찰 1회

낙찰가 7억 2481만원 97.16%

 

2018타경101915 서울 구로구 궁동 143외 2필지 다청림아파트 

전용면적 150.69 

경매개시일 2018-04-06

입찰기일 2019-03-12

감정가 6억 4700만원

유찰 1회

낙찰가 5억 5000만원 85.01%

대항력 있는 임차인(보증금 7천만원)이 있어서 낙찰가가 낮아진 것 같다.

 

2017타경2534 서울 동작구 노량진동 323외 1필지 우성아파트 

전용면적 124.77 

경매개시일 2017-03-06

입찰기일 2019-02-21

감정가 8억 3천만원

유찰 1회

낙찰가 7억 1599만원 86.26%

 

2018타경191 서울 동작구 신대방동 395-68외 1필지 보라매나산스위트 

전용면적 219.51 

경매개시일 2018-01-09

입찰기일 2019-02-21

감정가 8억 5100만원

유찰 1회

낙찰가 7억 3557만원 86.44%

 

2018타경4568 서울 종로구 창신동 703외 5필지 창신쌍용아파트

전용면적 115.53

경매개시일 2018-07-04

입찰기일 2019-02-21

감정가 5억 3300만원

유찰 0회

낙찰가 5억 5311만원 103.77%

 

2018타경4165 서울 광진구 자양동 510-5외 3필지 이튼타워리버1차

전용면적 84.59

경매개시일 2018-07-25

입찰기일 2019-02-25

감정가 9억 2000만원

유찰 1회

낙찰가 8억 7379만원 94.98%

 

일부 지역 대형 평수는 감정가 대비 낙찰가 비율이 85% 정도인 곳도 있는데, 나머지 지역들은 100% 에 가까운 경매 물건들도 많았다.

728x90
반응형

 

서울둘레길 

5코스

관악산코스

중급

12.7km

5시간 50분

 

원래 사당역에서 출발하여 석수역에서 끝나는 코스이다.

그런데 나는 석수역에서 출발하는 것이 편해서 반대방향으로 돌았다.

 

서울둘레길 앱에서는 예상소요시간이 5시간 50분인데,

9시쯤 출발해서 1시쯤 끝났다.

 

대략 4시간 정도 걸렸다.

 

출발하자마자 입구에서 김밥을 먹은 것, 중간 중간에 쉰 시간이 30분이 넘을 것이다.

 

원래는 안 쉬고 걷는 편인데 이번에는 한 시간 마다 쉬려고 했다.

 

두 번에 나눠서 걸어도 괜찮았을 것 같다.

 

서울대입구 정도에서 빠졌다면 무난했을텐데,

무리해서 한 번에 걸었더니 마지막에 힘들고 지루했다.

 

서울대 앞에서 낙성대까지는 그럭저럭 갈만 했는데

낙성대부터 사당역까지는 진짜 언제 끝나나 하는 생각이 자주 들었다.

 

석수역에서 서울둘레길 5코스 관악산코스 입구로 가는 길

석수역에서부터 등산객들이 많이 보였다.

 

파리바게트에서 빵을 사고

김밥천국에서 김밥 한 줄을 사고 (2천원)

편의점에서 우유 하나를 샀다.

 

맛있는 것을 먹고 싶었는데 미리 준비하지 못해서 아쉬웠다.

 

관악산 코스3 스탬프 우체통

스탬프 하나 찍고 입구에서 김밥부터 먹었다.

배가 고파서 먹고 출발했다.

 


관악산코스는 이렇게 바윗길이 많았다.

초반부와 후반부는 경사가 있었는데 중간에는 무난했다.


중간에는 이런 완만한 경사가 대부분이었다.


멀리 보이는 아파트들

나무들에 가려서 전망은 별로 안 좋았다.

이는 다른 둘레길도 마찬가지

높게 올라가지 않은 이상 나무에 다 가렸다.


서울대까지 아직도 4km 이상 남았다.


호암산 안내도와 다른 둘레길

서울둘레길 주변으로 그 지역의 둘레길들이 있다.

여유가 있다면 그런 길도 둘러봐도 좋을 것 같다.


호암늘솔길

왼쪽은 휠체어도 다닐 수 있는 길이다. 오른쪽이 둘레길 코스.

아무 생각 없이 왼쪽길을 따라갔는데 다행이 두 길이 나란히 이어졌다.


이렇게 빠지는 곳이 있어서 다시 둘레길로 돌아갔다.


그러나 다시 이렇게 두 길이 하나가 되고


다시 둘레길로 빠졌다.


개나리도 많이 폈다.


바위로 만든 계단들

이런 바위 계단도 그렇고 나무로 만든 계단도 그렇고 만들 때 누군가가 엄청 고생을 했을 것이다.


호암사였나

천천히 걸으면 이런 곳도 구경해도 좋은데

무작정 걷기만 했다.


내리막 길


꿩인지 닭인지 모르겠다. 가까이 가도 놀래지도 않고 땅에서 무언가를 계속 쪼았다.


서울둘레길 안내표지판

이번 코스는 이런 표지판이 드물었다.

다른 코스에서는 엄청 자주 보였는데


여기도 그냥 지나치고


드디어 서울대 근처

저멀리 보이는 건물들이 서울대 건물들이다.


새모양으로 만든건지

나무로 무언가 만들어놨다.


정승이라고 하나

이런 것도 쭉 있었다.


관악산 입구로 가는 길


스탬프 우체통

관악산코스2


관악산 공원 입구

이 동네에 몇 년 살아서 이 근처를 수십 번 지나갔는데 처음 본다.

그냥 옆으로 지나가기만 해서 그런건지

내가 이사한 이후 바뀐건지 모르겠다.


서울대 입구

한때는 여기서 공부를 했다.

그때 일이 잘 풀렸더라면 지금 더 행복했을까


서울대입구역쪽으로 가는 길

계속 가면 서울대입구역이고 중간에 낙성대코스로 빠질 수 있다.


낙성대 공원

강감찬 장군과 관련이 있는지 이것 저것 있었다.


이름은 모르겠다.

이 앞으로 쭉 가서 오른쪽으로 가면 둘레길 코스가 나온다.

그걸 못 보고 이 앞을 지나가서 처음으로 둘레길 코스를 이탈했다.

5분 정도는 까먹었다.


바로 여기가 둘레길이 다시 시작되는 곳

여기서부터 사당역까지 한참 걸렸다.


휴계토라전망대인가

올라가보지는 않았다.

여기까지 오기 전에 다른 곳에도 이런 전망대가 있었는데 거기는 사람들이 쉬고 있었다.


계속 되는 둘레길


관악산코스, 서울둘레길 5코스는 거의 6시간 짜리 코스다.

그걸 4시간 동안 한 번에 걸었는데 그래서 힘들었다.

낙성대부터 사당역 구간은 오르막이 나올 때 마다 언제 끝나나 하는 생각만 들었다.

서울대입구역으로 빠졌더라면 무난했을 것 같다.


사당역까지 이런 오르막이 자주 나온다.

힘들고 점점 지루했다.


전망

수많은 아파트와 빌딩들


그냥 오르막만 있는게 아니라 중간에는 바윗길로된 오르막도 있었다.


이런 길


무당골

뭔가 신기한 바위가 있었는데 무당골이란다.


무당골 표지만

누군가는 지울고 낙서를 했고

약간 음침한 기분이다.


전망

여기가 전망이 가장 좋았다.


다른 둘레길에서는 길게 쉬면서 걷지 않았는데

이번 둘레길에서는 중간 중간에 자주 쉬었다.


총 4시간 중에 30분 이상 쉬었을 거다.

시작하자마자 김밥을 먹었고 한 시간 마다 10분씩 쉬었는데

여기서도 한 5분 넘게 쉬었다.


아파트들이 진짜 많다.


다시 출발


또 나타난 오르막 계단 ㄷㄷㄷ


아직도 사당역까지 1.41km


관음사 입구


관음사가 맞나 모르겠는데 그냥 지나쳤다.


드디어 끝

서울둘레길 5코스 관악산코스1 스탬프 우체통


사당역 가는 길

고급 빌라들이 있었다.


하지만 끝이 아니었다.

여기서부터 사당역까지도 꽤 멀었다.


관악산코스를 한 번에 걷냐고 무리했다.

총 4시간 소요

휴식시간 30분 가량 제외하면 3시간 30분은 걸었다.


다음 6코스도 무리해서 한 번에 걸을까 생각중인데,

오늘처럼 쉬엄 쉬엄 한 번에 걸을지

중간에 한 번 끊고, 다음 번에 7코스 초반부까지 걸을지 모르겠다.


올해 상반기 안에 완주를 목표로 해서 무리하고 있다.

아무래도 5월이 지나면 볼거리는 많아지겠지만 더울 것 같다.


728x90
반응형

2018년 공인중개사 시험이 2주도 안 남았다.

지금쯤이면 모의고사 같은 예상문제를 풀고 있어야 했는데, 

나는 이제 기출문제를 풀고 있다.


지지난 주말에 부동산학개론만 4개년도 풀었고,

지난 주말에 민법 4개년도를 이어서 풀어봤다.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2017년꺼는 민법 과락으로 불합격, 2016년꺼는 평균 점수 미만으로 불합격이다.

2015년꺼와 2014년꺼는 간신히 합격 점수가 나왔다.


그나마 희망적인 것은 풀때마다 점수가 조금씩 오른다는 것.


올해 초에 공인중개사 시험을 알아보면서 합격 수기들을 몇 개 읽어봤는데,

그때 경제학이나 법학 중 하나를 전공하면 1차 시험은 무난히 통과할 수 있다는 글을 봤다.


나의 경우에도 경제학을 공부했기에 그나마 부동산학개론에서 점수가 60점 이상 나왔다.


그래도 기출에서 부동산학개론 80점 정도, 민법 60점 정도 나와야 합격이 무난할 것 같다.

지금은 개론 70점 이상, 민법 50점 이상을 목표로 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보인다.


변명이지만, 직장을 다니면서 공부를 병행한다는 것이 쉽지 않은 것 같다.


비록 올해에는 1차 합격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그동안 공부한 것에 비해 점수가 나온 것을 보면 어려운 시험은 아닌 것 같다.

동차 합격을 노린다면 어렵겠지만.


지금까지 공부한 것을 적어보면,


부동산학개론 기초 강의 수강,

민법 및 민사특별법 기초 강의 수강

부동산학개론 기본 강의 수강

민법 및 민사특별법 기본 강의 수강

부동산학개론 기본서 1회독

민법 및 민사특별법 기본서 1회독


기출문제 4개년을 풀면서

개론 및 민법 요약집 1회독



원래는 개론 및 민법 기본서를 각각 2~3회독은 하려고 했는데,

도저히 그럴 시간이 없었다.


결국 문제풀이 + 요약집으로 준비하기로 했다.


객관식 시험의 특성을 고려하면 최대한 기출문제를 빨리 풀어보는 것이 중요한 것 같다.

문제를 접하지 않고 기본서를 보면 뭐가 중요하고 시험에 나오는지 감을 잡을 수 없기 때문이다.


기본강의에서도 강사들이 버릴 부분, 중요 부분을 언급해주기도 한다.

그래도 결국은 문제풀이 같다. 그래야 기억에 더 잘 남으니까.



앞으로 남은 기간에는


기출문제 나머지 5개년(2013~2009) 풀이

예상문제 10회분 풀이

요약집 반복


을 목표로 하고 있다.


예상문제집을 한 권 구입했는데 10회분을 다 풀고 시험을 보러 갈 수 있을지 모르겠다.


다음 주말이 지나고 나서 나머지 기출문제 풀이 결과를 올리겠다.



2018.10.20

D-7 

추가



2018년 공인중개사 시험을 일주일 앞두고

나머지 기출문제들을 풀어봤다.


그 결과는 위와 같다.


지난 번에 풀었을 때 과락+불합격, 불합격, 합격, 합격 순으로 점수가 올라서

나머지 4개년도는 무난히 합격할 점수가 나올 줄 알았는데 그게 아니었다.


여전히 민법은 40점 내외다.


앞으로 이론(요약) + 기출 복습에 집중하려고 한다.

시간이 남으면 모의고사도 최대한 풀 것이다.


기출해설집에 최근 8개년 밖에 없어서 2009년꺼는 안 풀었다.


내일 일요일이 사실상 공부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다.



2018.10.25

D-3 (?) 추가


지난 일요일에 결국 도서관에 못 갔다.


감기 기운이 있어서 무리하지 않으려고 했는데, 솔직히 변명이다.

시험은 얼마 안 남았고, 공부할 것은 많고, 회피하고 싶은데 마침 컨디션도 안 좋으니 그냥 쉬어버린 것이다.


조금 무리했으면 박문각 실전모의고사 10회분을 모두 풀고 시험을 보러 갈 수 있었는데,

게을러서 반도 못 풀고 가게 됐다.


월요일부터 퇴근하고 나서 최대한 많이 풀려고 했는데,

개론 1회, 민법 4회를 풀었다.


실전모의고사 1회 풀었는데 개론 75점, 민법 40점으로 불합격이었다.


선택과 집중을 위해 개론은 그만 공부하고 민법에 올인하기로 했다.


그래서 민법만 풀었는데


2회 민법 57.5

3회 민법 52.5

4회 미법 60


이 나왔다.


민법 기출문제를 풀었을 때 40점대였는데 그나마 다행이다.


운이 따라준다면 간신히 붙을 수 있을 것 같고,

개론이나 민법 둘 중에 하나만 어렵게 나와도 떨어질 것이다.


마지막 하루는 기출문제 틀린 부분을 반복해서 보려고 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