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이번에 태국에 다녀와서 먹은 음식 사진들이다.

시대에 맞춰 앱으로 할인을 받을 수 있는 멋진 레스토랑들도 많은 것 같은데, 나를 비롯한 일행들은 저렴한 음식을 선호해서 그런 음식 사진이 대부분이다. 그외에 태국 방콕 맥도날드의 파이 사진들이 있고, 방콕 돈무앙 공항에서 저렴하게 먹을 수 있는 푸드 코트를 소개한다. 공항에서도 50~60밧이면 한끼를 해결할 수 있었다.

 

먼저 방콕에 도착해서 숙소 인근 식당에서 먹은 음식이다. 

음료 두 잔 등을 포함해서 470바트 정도 나왔으니 완전 저렴한 음식들은 아니고 요리당 100바트 내외의 음식들이다.

 

새우 들어간 팟타이였나...

사실 아직까지 정확한 태국 음식 이름을 익히지 못했다. 팟타이 같은 볶음 면류인데 새우가 들어간 것이다. 새우를 좋아해서 새우가 들어간 것으로 많이 시켰다.

볶음밥

향이 강하지 않다면 팟타이나 볶음밥 정도면 부담없이 먹을 수 있다.

샐러드 쏨땀이던가

엄청 매웠다. 식당에 따라 다르겠지만 미리 맵지 않게 해달라고 말하는게 나을 것 같다. 맵지 않은 샐러드라면 매끼 마다 먹었을텐데 어쩌다보니 딱 한 번 먹고 안 먹었다.

 

다음으로 방콕을 벗어나 인근 지역에 있는 리조트를 갔을 때 그곳의 음식 사진들이다.

역시 새우가 들어간 요리

또 새우들

이거는 다음에 태국에 갈 기회가 있다면 많이 먹고 싶다.

이름은 모르겠고 작은 고기들을 요리한 것이다. 멸치보다 조금 큰 크기의 생선들.

다른 곳에서는 맛있다고 해서 시켰는데 여기서는 조금 별로였다. 그래도 맥주 안주로 적당할 것 같다.

버섯 볶음

여러 종류의 버섯들을 볶은 것으로 맨밥을 시켜서 볶아 먹었다.

볶음밥

역시 새우가 들어간 것으로 시켰다.

볶음면

여기도 새우

견과류 볶음

조식용 잼과 버터

토스트

미국식 조식

 

다음은 깐차나부리 버스터미널 근처 식당 음식 사진.

이름이 BOOM 카페였나... 구글 지도를 확인해보니 Boom Cafe 가 맞다. 버스터미널 북쪽에 있고 외관도 깔끔하니 쉽게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깐차나부리에 간다면 추천한다.

오징어가 들어간 덮밥이라고 해야 할까.

원래 시키려는 음식이 맵다고 해서 대신 이걸로 시켰다.

볶음밥

Boom Cafe 는 가격도 무난한데 양은 좀 부족하다고 느꼈다. 사람에 따라 다를테니 양이 어느 정도인지는 사진을 참고하면 될 것이다. 개인적으로 싸고 양 많은 것을 선호해서 조금 부족하다고 느꼈다. 태국 음식 외에 파스타도 있고 한국식, 일본식 음식도 있었다.

 

다음은 카오산 로드의 나이쏘이

뭘 시켜야 할지 몰라서 메뉴에서 1번, 2번, 3번을 시켰다. 점심 시간이 지난 2시에 갔는데도 한국 사람들이 많았다. 자리가 없을 정도로. 그래도 국수니까 테이블은 빨리 순환되는 편. 면 종류를 고르고 고기를 고르는 식이다. 한국 사람들이 많이 찾아서 한국어 메뉴가 있을 법도 한데 아직은 없었다.

장조림 같이 삶은 소고기가 들어간 국수

Stewed Beef 였나... 그럴 것이다.

밋볼인지 피쉬볼인지 볼 모양이 들어간 국수

소고기가 들어간 국수

Fresh Beef 였나 그랬다.

한 그릇 당 100바트로 총 300바트. 별다른 서비스는 없으니 팁은 안 주는 분위기. 외국 사람들은 테이블에서 계산했고 우리 나라 사람들은 일어나서 직접 가서 계산하는 경우가 많았다.

 

다음은 맥도날드 파이들!

파인애플 파이와 콘파이. 그리고 언제 나왔는지 모르겠는데 치킨 라자냐 파이인가 뭐 그런게 있었다.

파인애플을 좋아해서 1일 1파이가 아니라 1일 3파이 이상을 하고 싶을 정도로 많이 먹을 작정이었는데 달랑 한 번 먹고 말았다. 

콘파이 하나와 파인애플 파이 둘

75바트

맥세이버는 왜 들어갔는지 모르겠다. 1밧이든 2밧이든 할인해줘서 좋았을 뿐...

치킨 스파이시 라자냐 파이였던가

처음 보는게 있어서 시켜먹고 껍데기만 남았다. 뒷면에는 다른 이름이 적혀있을지 모르겠다. 가격은 29바트.

 

다음은 잡다한 사진들

마트에서 파는 샐러드 세트

각종 샐러드가 진열된 곳에서 먹고 싶은 것만 골라서 사고 싶었는데 그람당 얼마인지 등 어떻게 가격이 책정되고 스티커를 붙이는지 몰라서... 그냥 포장해놓은 것을 샀다. 단호박, 고구마, 옥수수 등등. 밥이랑 같이 먹으려고 사봤는데 그저 그랬다. 보기에는 먹음직스러워 보였는데...

편의점 음식

1일 1파인애플 파이처럼 작정하고 먹고 싶었던 것이 편의점 음식이라 세븐일레븐을 다 털어버리고 싶었는데 시국이 시국인 만큼 (NO JAPAN 으로) 2~3번 정도 가는 것에 그쳤다. 친절한 알바생이 데워준다고 했는데 그냥 먹었다.

새우들

시장에서 파는 새우. 알을 밴 새우들도 있었는데 알이 뭐 특별한 맛이 있는 것도 아니고 외관상으로도 알이 없는 것이 깔끔했다. 각종 음식을 모두 새우가 들어간 것으로 시키고도 부족해서 구운 새우를 사먹었다.

 

마지막으로 돈무앙 공항의 푸드 코드

돈무앙 공항에서 한국으로 가는 비행기가 오후 9시쯤이라 공항에서 저녁을 먹어야 했다. 공항은 비쌀 것 같아서 검색해보니까 돈무앙 공항에 매직 푸트 코트였나. 저렴하게 태국 음식을 먹을 수 있는 곳이 있었다. 

위치는 돈무앙 공항 제2터미널 남쪽끝 세븐일레븐 옆 통로다. 

국제선을 탄다면 제1터미널으로 갈텐데 거기서 주로 태국 국내선을 운항하는 제2터미널 쪽으로 가서 끝까지 가면 세븐 일레븐이 나온다. 안 나오면 2층으로 가라. 국제선 출발층이 3층이라 한층 아래로 내려가야 한다. 세븐일레븐이 보이고 왼쪽에 통로가 있는데 매직 푸드 코드다.

지금 검색해보니까 매직 푸드 파크라고 적어놓은 글도 있다. 정확한 명칭은 기억이 안 난다. 영어로는 Airport Street Thai Food 였나 뭐 그렇게도 적혀있다. 

푸드 코트처럼 가게가 한 10개 정도 있고 각종 음식을 판다. 가게마다 비슷한 음식을 팔기도 하고 가게 마다 고유의 특징이 있어 보였다. 볶음밥류만 팔거나 국수류만 팔거나 하는 식으로. 가격은 50~60바트 정도. 부담 없이 먹을 수 있다. 맛도 좋았다. 

역시 새우가 들어간 볶음면

메뉴는 영어로도 적혀있는데 그냥 사진을 보고 번호로 시켜도 된다. 공항에 있어서 그런지 내 영어도 한 번에 알아듣고 조리를 해줬다. 여기를 가기 위해 블로그를 2~3개 정도 보고 갔는데 그 어느 글에서도 지불 방법이 적혀있지 않았다. 

현금으로 지불하는 것이 아니라 아래와 같은 쿠폰을 사서 쿠폰으로 결제를 해야 한다.

들어가면 여자 두 명이 앉아있는 카운터가 보이고 거기에서 100밧을 내고 쿠폰을 받는다. 10밧짜리 쿠폰 8개와 5밧짜리 쿠폰 4개를 준다. 이 쿠폰으로 자신이 주문한 음식 가격에 맞춰서 내면 된다. 중간에 자를 수 있게 점선이 있어서 잘라서 내는건가 했는데 그냥 통째로 한장씩 금액에 맞춰서 주면 가게 주인이 잘라서 통에 넣거나 알아서 처리했다. 남은 쿠폰은 나갈 때 바트로 바꾸면 끝.

마지막으로 한 가지 더. 스푼이나 포크를 따로 안 주고 접시에 음식만 담아 준다. 각종 양념은 가게 앞에 있다. 테이블들이 있는 쪽으로 잘 찾아보면 한쪽 구석에 수저, 포크 등을 모아놓은 곳이 있다. 거기에 끓는 물도 있었는데  수저와 포크를 꺼내서 그 물에 소독해서 먹으라는 것 같았다. 나는 몰라서 그냥 먹었는데 그렇다고 A형 간염에 걸리지는 않을 것이다. 혹시 태국 사람들은 어떻게 하는지 보게 된다면 알려주길 바란다.

 

728x90
반응형

우리나라에서 태국 방콕으로 가는 경우 수안나폼 공항이나 돈무앙 공항으로 도착한다.

 

수안나폼 공항에서 시내까지는 공항철도가 있지만 돈무앙 공항에는 아직 없다.

한창 건설중이라는 글을 봤는데 조만간 돈무앙 공항에서도 공항철도를 타고 시내로 이동할 수 있을 것 같다.

 

아무튼 에어아시아를 타면 돈무앙 공항으로 도착하게 된다.

오전 11시 15분에 출발하여 15시 5분에 도착하는 일정이라 기내식을 미리 주문했다.

생각보다 크기가 엄청 작았다.

 

돈무앙 공항에서 방콕 시내까지 다양한 경로로 공항버스도 있으나 나는 짐이 많아서 택시를 탔다.

 

결론부터 적자면 택시비는 350~380바트가 들었다.

돈무앙 공항에서 시내까지 350바트 (오후 4~5시)

시내에서 돈무앙 공항까지 380바트 (오후 5~6시)

 

수수료, 팁, 톨비 등 이런 저런 비용 때문에 위와 같은 비용이 들었고 순수 미터 요금만 고려하면 220~230바트 정도 나왔다.

시간은 한 시간 미만으로 걸렸는데 차가 막히는 시간대라면 더 걸릴 수도 있다.

 

2~3년 전 새벽에 카오산 로드에서 돈무앙 공항까지 택시를 탔을 때도 미터 요금은 200바트 정도가 나왔고 팁으로 20바트를 줬던 기억이 난다.

 

구체적인 비용을 설명하면,

먼저 돈무앙 공항에서 시내까지 오후 4시 넘어서 출발했을 때

(참고로 아속역에서 남쪽으로 3~4km 더 간 곳까지 이동)

 

총 350바트 중

공항 택시 이용료 50바트

고속도로 톨게이트 비용 50바트

택시 미터 요금 220바트 정도

나머지가 팁으로 30바트 정도

 

돈무앙 공항에서 8번 게이트쪽으로 TAXI 표시를 따라가면 택시를 타는 곳이 나온다. 은행 번호표처럼 번호표를 뽑아주는 사람이 있고 자기 번호가 들어오면 가서 목적지를 말하면 된다. 그러면 옆에 있던 기사가 택시로 안내한다. 이런 서비스 비용이 50바트로 내릴 때 기사에게 같이 주면 된다.

 

이런 비용을 추가로 지불하고 싶지 않다면 도착층으로 가서 공항으로 오는 사람들을 태우고 오는 택시를 잡아타면 될 것이다. 요금을 흥정하기보다는 미터로 가자고 미리 말하면 될 것이다. 어차피 빈 택시로 시내로 돌아갈 수도 있는 택시이니 기사 입장에서도 이익일 것이다. 그런데 이런 방법으로 택시를 타려는 사람들이 많으면 택시를 잡기 어려울지도 모르겠다. 공항 택시 서비스의 경우 내 앞에 2~3명 밖에 없었다. 

 

다음으로 시내에서 돈무앙 공항까지 오후 5시쯤 출발했을 때

총 380바트 중

그랩 콜비 20바트

고속도로 톨게이트 비용 120바트 (50+70)

택시 미터 요금 230바트

나머지가 팁으로 10바트 정도

 

하이웨이라고 부르는 고속도로 톨비는 기사가 내는 것이 아니라 손님이 내는데 공항에서 시내까지 가는 고속도로 톨비가 70바트, 시내의 고속도로 톨비가 50바트인 것 같다.

 

잔돈으로 줄 필요는 없고 100바트로 주면 기사가 거스름돈을 받아서 다시 돌려준다.

500바트나 1000바트 고액권은 안 내봐서 모르겠는데 요금정산소에는 잔돈이 넉넉할테니 고액권으로 상관은 없을 것 같다. 아니면 미리 잔돈을 준비하면 될 것이다. 한국에서 환전을 할 때 20바트, 50바트, 100바트 등 소액권으로 받을 수 있고, 택시 타기 전에 돈무앙 공항의 편의점 등에서 간단히 먹을 것을 사면서 잔돈을 만들 수도 있을 것이다.

출퇴근 시간 등 차가 막히는 시간에는 당연히 하이웨이를 이용하는 것이 좋고, 그 외의 시간이라면 딱히 이용할 필요는 없는 것 같다. 예전에 카오산 쪽에서 새벽에 돈무앙 공항으로 갔을 때에는 차가 안 막혀서 고속도로를 안 타고도 금방 도착했다.

 

이번에 공항에서 시내로 갈 때는 하이웨이로 가자고 미리 말을 안 해서 70바트 짜리 고속도로는 이용하지 않았고 시내쪽 50바트 짜리 고속도로만 이용했다.

시내에서 공항으로 갈 때는 50바트 짜리와 70바트 짜리를 모두 이용했는데 70바트 짜리 고속도로 근처 도로는 별로 안 막히는 것 같아서 괜히 이용한 것 같았다.

 

시간적 여유가 있다면 시내쪽 고속도로만 이용해도 충분할 것이다.

 

그랩(Grab)을 이용하는 경우 목적지까지 총 비용을 지불하는 방법이 있고 20바트의 콜비를 주고 나머지는 미터 요금을 지불하는 방법도 있다.

 

이번에 방콕에서 그랩을 한 번 더 이용했었는데 괜히 많은 비용을 지불한 것 같다. 그랩상 요금은 96바트이고 기사도 96바트를 달라고 했는데 팁을 생각해서 그냥 120바트를 줬다.

 

원래 버스를 타고 차 막히기 전에 이동하려고 오전 7시쯤 나름 일찍 나왔는데 그 시간대는 버스 배차가 드물었다.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차는 막히고 결국 그랩을 불렀다. 택시가 왔고 탔을 때 미터기에는 71바트가 표시되어 있었고 도착했을 때에는 131바트가 표시되어 있었다. 기사가 그랩상 요금인 96바트를 달라고 했으니 100바트만 줘도 충분했는데 잘 몰라서 그냥 120바트를 줬다. 96바트에 이런 저런 서비스 비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았을지... 그냥 바로 미터 택시를 탔어도 100바트 정도면 충분히 갔을 것 같다.

방콕 야경

 

출퇴근 시간 등 차가 많이 막히는 시간대에 혼자 이동한다면 오토바이 택시를 타는 것도 좋을 것 같다. 나도 그랩 택시를 부르기보다는 오토바이 택시를 타볼까 했는데 한 번도 안 타봤고 다른 사람들이 썼던 헬멧을 쓰기 싫어서 그냥 그랩 택시를 불렀는데 차가 막혀서 시간이 좀 걸렸다. 

728x90
반응형

한강에 반했다.

서울둘레길을 걷다가 하늘공원 근처를 잠깐 걸었는데 아주 마음에 들었다.

그래서 그날 바로 따릉이를 빌려 한강을 따라 자전거를 탔다.

 

그날 이후로 따릉이를 타고 한강에 자주 갔다.

한강은 자전거 도로도 잘 되어 있고 자전거를 타는 사람들도 많다.

 

주로 진입하는 지점 중 하나는 2호선과 9호선이 만나는 당산역이다.

당산역 4번 출구로 나가면 따릉이 대여소가 있다.

272번 당산육갑문

 

잘 안 보이는데 사진 가운데에서 약간 오른쪽으로 따릉이들이 보인다.

 

당산역 4번 출구쪽으로 가면 '한강공원'으로 나가는 표시가 보인다.

4번 출구로 나가서 앞으로 쭉 가면 바로 한강공원으로 걸어서 넘어가게 되고,

따릉이를 타려면 바로 오른쪽 계단으로 내려가면 된다.

 

따릉이를 빌려서 오른쪽으로 조금 가면 한강으로 갈 수 있는 터널이 나온다.

노들길나들목

오른쪽 당산나들목으로는 차가 다닌다.

노들길나들목도 자전거에서 보행자 전용이라 자전거에서 내려서 끌고 가라고 적혀있다.

그런데 열에 아홉은 그냥 타고 나닌다.

 

당산나들목도 있고 따릉이 대여소부터 나들길나들목까지 차가 다니니까 조심해서 타야한다.

 

노들길나들목 반대편 (한강쪽)

 

터널을 지나면 바로 자전거 도로가 나온다.

한강에서 따릉이를 타다가 반납 후 다시 대여할 필요가 있을 때 노들길나들목에서 해도 된다.

엘리베이터를 탈 필요도 없고 가깝다.

 

참고로 따릉이 이용권은 2시간권을 추천한다.

1시간권으로 한강에서 따릉이를 탄다면 대여소를 찾는데 시간을 더 보낼 것이다.

특히 처음 가는 대여소들이면 찾는데 더 오래 걸릴 것이다.

 

 

이날 날씨가 무척 좋았다.

바로 집으로 가도 대여 시간은 충분했는데 중간 중간에 쉬고 싶어서 한 번 반납 후 다시 대여를 했다.

반납하고 대여한 따릉이 대여소는 잠실나들목이다.

잠실나들목

잠실나들목으로 빠지는 곳

잠실나들목 (시내쪽)

잠실나들목 (한강쪽)

 

잠실나들목으로 나가서 횡단보도를 건너면 따릉이 대여소가 있다.

2613번 잠실나들목이다.

 

한강변을 따라 따릉이를 타다가 반납/대여가 필요할 때 들리기 가깝다.

찾기도 쉽다.

 

사실 탄천쪽에서 한 번 반납하고 대여를 하려고 했는데 대여소를 못 찾아서 그냥 잠실나들목까지 갔던 것이다.

 

바로 지하철역으로 가거나 지하철역에서 한강쪽으로 오고 싶다면 잠실새내역이 좋을 것 같다.

잠실새내역 5번 출구와 6번 출구쪽에 따릉이 대여소가 있고

거기서부터 한강쪽으로 가서 석촌나들목을 지나면 한강으로 갈 수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