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중랑구 중화동에 다녀왔다.

 

우성타운 아파트 위치

우성타운 아파트는 중화역, 중랑역, 상봉역 사이에 위치해 있다. 우성타운 아파트를 보러 갔던 것은 아니고 지나가다가 3층짜리 아파트가 보여서 즉흥적으로 관심을 갖게 됐다. 역시나 재건축을 추진중이었다. 위 지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중화동에는 여러 가지 정비사업이 진행 중이다. 중화1구역, 공공주택복합사업4차 중랑역 인근, 공공재개발1차 중화122구역, 대명&삼보연립 가로주택정비사업, 모아타운2차 중화1동 4-30 일원 등이다. 이 글의 주제인 우성타운 아파트도 재건축을 추진 중이고, 우성타운 아파트 맞은편 세광하니타운도 가로주택정비사업을 추친하고 있다.

 

 

부동산에서는 트리플 역세권이라고 홍보하지만 교통이 썩 좋은 편은 아니다. 우성타운 아파트 입구에서 중화역 2번 출구까지 도보 6분 거리이다. 중랑역과 상봉역에 경의중앙선, 경춘선이 있지만 배차간격이 길다. 그래도 청량리역이나 용산역으로 갈 수 있다.

 

 

우성타운 아파트

 

먼저 아파트 단지 내로 들어가서 입구를 살펴보니 서울시 및 중랑구 문서가 붙어 있었다. 중화동 우성타운 재건축사업과 관련하여 도시계획위원회 심의결과 보완을 요청하는 내용이었다.

 

 

가볍게 아파트 단지 내를 한 바퀴 돌았다. 1986년에 지어진 3층짜리 아파트라서 그런지 나무도 그만큼 높이 자랐다.

 

 

이렇게 나무에 가려서 아파트 건물이 잘 안 보였다. 30년이 넘은 주공아파트나 다른 아파트를 가도 나무들 때문에 저층은 잘 안 보인다.

 

 

단지 안쪽은 주차공간이 거의 없어 보이는데 우체국 차량이 이 안쪽까지 들어왔다.

 

 

그리고 이렇게 빈 공간도 주차장으로 활용하는 것 같았다.

 

 

이렇게 작은 놀이터도 있었다.

 

 

돌아나가는 길에 찍은 사진인데 많이 흔들렸다.

 

 

나무들이 아파트 건물을 가리기도 했지만 사진도 위쪽보다 그냥 시선 높이의 길을 많이 찍은 것 같다. 아무튼 우성타운 아파트는 총 7개동, 96세대이다.

 

 

단지 내를 한 바퀴 거의 다 돌고 나가는 길이다.

 

 

드디어 시원한 사진이다. 단지 입구에서 가까운 곳이다. 아까 안쪽에는 주차공간이 거의 없었는데 여기는 넓은 편이다.

 

 

여기가 아파트 단지 입구이다. 도로보다 높은 위치에 있다. 경사진 도로를 올라와야 한다.

 

 

단지 안내도이다. 아파트가 30년이 넘은 만큼 안내도도 그만큼 세월이 흘러서 그런지 빛이 바랬다. 그래도 1,2,3,5동은 33평형, 6,7,8동은 36평형이라는 글자가 보인다. 대부분 대형평수이다. 1980년대 중반 당시에는 더 대형으로 느껴졌을 것이다.

 

 

아파트 단지 입구에서 도로쪽을 바라본 모습이다.

 

 

여기는 지하주차장 입구이다. 우성타운 아파트에는 이렇게 지하주차장도 있었다. 안쪽까지 안 들어가봐서 몇 대나 주차할 공간이 있는지 모르겠다. 

 

 

아파트 단지가 높은 곳에 있다보니 지형을 잘 활용하여 지하주차장을 만들었다.

 

 

한신아파트 상가의 모습이다. 우성타운 아파트 인근에 1,544세대의 한신아파트가 있다.

 

 

중화 한신아파트 입구이다. 뒤쪽으로 약간 높은 곳에 있는 건물이 우성타운 아파트이다.

 

 

평당가는 한신아파트가 가장 높다. 우성타운 아파트는 한신아파트와 얼마 차이가 안 나는데, 세광하니타운은 평당가가 꽤 낮다. 우성타운 아파트와 세광하니타운 모두 재건축을 추진 중인데 왜 이런 차이나 나는걸까. 세광하니타운이 면적이 더 작아서 그런 것일까. 우성타운아파트는 100평방미터, 세광하니타운은 38평방미터로 나온다.

 

 

현재 네이버부동산에서 확인되는 매물은 아래와 같다.

 

 

우성타운 아파트

 

6동 1/3층 36평 남향 9억
5동 1/3층 33평 남향 9.1억
5동 1/3층 33평 남향 9.2억
6동 1/3층 36평 남향 9.5억
1동 3/3층 33평 남향 9억

 

 

세광하니타운


가동 1/3층 38C 남향 2.75억
가동 1/3층 38B 남향 3.3억
라동 3/3층 54 남향 4.8억
라동 3/3층 54 남향 4.9억
다동 2/3층 54 남향 4.8~4.9억
나동 1/3층 38C 남향 3.5억
라동 3/3층 54 남향 4.8억
가동 1/3층 38C 서향 2.9억

 

세광하니타운은 단위가 평이 아닌 평방미터이다.

 

중복매물제외 옵션을 선택했지만 그래도 중복매물이 있을 수 있다.

 

 

한신아파트

 

한신아파트는 매물이 많아서 32C평형의 최근 5년 시세 및 실거래가만 올린다.

 

 

2023년 4월 19일 추가

2023년 3월 16일에 중화동 우성타운 재건축 정비계획 결정 및 정비구역 지정이 있었다.

 

 

조합원 분양가 추정액은 아래와 같다.

전용 59 - 6.6억
전용 65 - 7.0억
전용 84A - 8.4억
전용 84T - 7.9억
전용 115 - 10.7억

 

 

 

 

 

728x90
반응형

 

노원구 공릉동에 다녀왔다.

 

노원구 공릉동 위치

공릉동은 규모가 꽤 크다. 공릉역, 태릉입구역, 화랑대역이 공릉동에 포함되고, 하계역, 광운대역, 석계역, 봉화산역도 공릉동에서 멀지 않다. 동쪽으로는 신내역, 갈매역 인근까지도 공릉동이다. 이렇게 넓은 공릉동에서 이번에 임장을 갔던 곳은 화랑대역 주변이다.

 

 

화랑대역 주변

화랑대역 3번 출구 바로 앞에 있는 대덕프라자에서 경매 물건이 나왔는데 아직도 진행 중이다. 또한 서울여자대학교 근처에 있는 태릉현대홈타운스위트에서도 경매 물건이 나왔다. 화랑대역 주변으로도 아파트 단지들이 많다. 그중 태릉우성아파트에서 지나가다가 재건축 관련 현수막을 봤다. 다른 아파트 단지들도 비슷한 시기에 준공됐다면 재건축을 진행하고 있을 수 있다. 시간상 다른 아파트 단지들을 다 가볼 수 없었다.

 

 

그리고 여기까지 온김에 태릉현대홈타운스위트 주변도 가봤는데 고급 주택 단지가 있었다.

 

 

2021타경37**
공릉동 89-1 대덕프라자 지하1층 B10*호
건물면적 73.75평
대지권 23.93평
감정가 1,200,000000원

 

화랑대역에서 3번 출구로 나오면 바로 왼쪽에 대덕프라자가 있다. 2004년에 준공된 건물로 지하 3층부터 지상 5층까지 있다. 화랑대역 초역세권에 배후에 아파트 단지들도 많아서 그런지 공실은 거의 없는 것 같았다. 특이한 점은 3번 출구로 나오면 바로 앞에 대덕프라자 지하 1층으로 갈 수 있는 에스컬레이터가 있는 입구가 있다는 것이다. 위 지도에도 3번 출구 바로 앞에 에스컬레이터 표시가 있다.

 

 

대덕프라자 입구

3번 출구로 나오면 왼쪽으로 대덕프라자 입구가 바로 보인다. 처음에 여기만 신경쓰다가 정면에 있는 또 다른 입구를 못 봤다.

 

 

대덕프라자 1층

 

 

대덕프라자 주변

건물과 화랑로 사이의 공간이다. 화랑로는 대덕프라자 앞을 지나는 왕복 8차선 도로이다. 아쉽게도 대덕프라자와 도로 사이에 단차가 존재한다.

 

 

도로쪽에서 대덕프라자를 보면 위와 같은 모습이다.

 

 

대덕프라자 주차장 입구

 

 

건물 뒤쪽과 내부 모습

 

 

지하에는 필라테스, 이마트에브리데이, 골프아카데미가 있다.

 

 

대덕프라자 지하1층 복도

평일 오전에 방문했는데 경매로 나온 호실은 영업 중이었다.

 

 

바로 여기가 또 다른 입구이다. 왼쪽 사진은 대덕프라자 지하1층 이마트 에브리데이로 가는 입구이고, 오른쪽 사진은 화랑대역 3번 출구이다.

 

 

대덕프라자를 살펴보고 태릉현대홈타운스위트로 가는 길이다.

 

 

태릉우성아파트

 

태릉우성아파트를 지나가는데 재건축 관련 현수막이 보였다. 이 아파트는 1985년에 준공된 아파트이다.

 

 

태릉우성아파트 상가동 등

 

 

서울여대 앞

서울여대 앞은 처음 와봤다.

 

 

2021타경1079**
공릉동 115
태릉현대홈타운스위트1단지

감정가 1,410,000,000원

 

이 물건은 총 3명이 입찰해서 약 10억 3천8백만 원에 낙찰됐다.

 

태릉현대홈타운스위트 1단지 입구

3층 짜리 건물로 4개동 총 60세대이다. 공급 43평, 48평으로 모두 대형이다. 보안도 철저한 것 같았다.

 

 

그래서 단지 안으로는 들어가지 않았다.

 

 

태릉현대홈타운스위트 1단지와 2단지에서 초등학교가 매우 가깝다.

 

 

태랑초등학교 입구

 

 

태릉 현대홈타운 스위트 2단지이다. 왼쪽 사진 아래쪽으로 '오토바이 진입금지, 외부인 경부실에 신고'라고 적힌 안내판이 보인다.

 

 

인근 주거단지

 

지도만 봤을 때는 그냥 빌라들이 있는 주택가가 있을 줄 알았는데 나름 고급스러운 주택들이 많았다.

 

조용하게 살기 좋을 것 같았다.

 

 

8차선 도로와 주거단지 사이에 소나무도 빽빽하게 있고 위 사진과 같은 도로도 있어서 시끄럽지 않을 것 같았다.

 

 

 

 

 

 

다시 태릉현대홈타운스위트2단지

 

 

 

2단지와 화랑로 사이에도 이렇게 빽빽한 소나무와 도로가 있었다.

 

 

인근 주거단지

 

 

2단지 주차장 입구

 

 

 

이렇게 화랑대역 주변 경매 물건 두 개를 보고 왔다. 

728x90
반응형

 

성동구 송정동에 다녀왔다.

 

송정동은 가끔 지나가는 곳이다. 항상 지름길로만 다니다가 얼마 전에는 2차선 도로를 따라가봤다. 철거인지, 리모델링인지 공사중인 건물이 많았다. 이전에도 골목 안쪽에 리모델링을 한 단독주택이 드문드문 보였는데, 차들이 다니는 주요도로를 따라 변화가 느껴졌다. 도로변에 공사중인 건물을 보니까 신축 건물들도 눈에 들어왔다. 그날은 그냥 지나가고 며칠 뒤 다시 시간을 내서 그 도로를 따라 걸었다. 특히 관심이 가는 건물이 있었는데 그 건물이 바로 연예인이 구입한 것이었다.

 

성동구 송정동 위치

성동구 송정동은 성수동 바로 위쪽에 있다. 성수동이 떴으니 송정동도 곧 뜰거라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중랑천 건너편 하수처리장 등이 있는 쪽을 제외하면 송정동은 면적이 그렇게 넓은 것은 아니다.

 

 

송정동 송정리단길

변화가 진행중인 길을 '송정리단길'이라고 표시해봤다. 송정동이니 송리단길이라고 하고 싶은데 석촌호수 근처에 이미 송리단길이 있으니 송정리단길이라고 하고 싶다. 그렇게 긴 도로는 아니지만 주변에 사람들이 찾아올만한 유인이 있다.

 

일단 중랑천 옆으로 송정제방이 있다. 제방 위에 산책로가 있는데 벚꽃으로 유명하다. 아래쪽으로 쭉 걸어가면 성수동까지 이어지는데 성수동쪽은 점심 시간에 산책을 나온 직장인들도 많이 볼 수 있다. 그리고 조금 거리가 있지만 어린이대공원도 있다. 어린이대공원도 벚꽃시즌에 사람들이 많이 찾는다.

 

 

송정리단길이라고 표시한 도로의 정식 명칭은 광나루로11길이다. 단독주택을 리모델링하는 것 같다. 아마 카페가 생기지 않을까.

 

 

광나루로11길

카카오맵에서 광나루로11길을 검색하니까 위와 같이 표시된다. 저 도로를 따라 마을버스도 다니고 차들이 주로 다닌다. 양옆으로는 단독주택들이 많은 주택가이다. 광나루로11길이 끝나는 부분(아래쪽)에서 길만 건너편 성수동이다. 성수동 생각공장까지 도보 2분 거리이다.

 

 

여기도 단독주택을 리모델링 하는 것 같다.

 

 

앞의 두 단독주택들은 과거에는 위와 같은 모습이었다. 첫 단독주택은 가림막을 쳐놓은 상태로 시간이 꽤 흐른 것 같다. 두번째 단독주택은 몇 달 전에도 오른쪽 사진과 같이 깔끔한 모습이었는데 다시 공사를 하고 있다.

 

 

리모델링을 하는 단독주택을 보니까 광나루로11길 주변의 다른 건물들도 눈에 들어왔다. 왼쪽 건물은 지은지 3년 정도 된 것 같다. 그 동안 관심이 없어서 그냥 지나쳤다. 오른쪽 건물의 과거 모습은 아래와 같다.

 

 

4~5년 전에는 이런 모습이었다.

 

 

광나루로11길은 그렇게 넓지 않다. 인도와 차도의 구분도 없다. 양옆 주택가 골목은 차가 다닐 수 없을 정도로 좁은 곳도 많아서 이 도로를 따라 차들이 많이 지나간다. 아무튼 변화하는 모습을 보니 점차 특색있는 가게들이 많이 생길 것 같다. 사진은 못 찍었지만 가게 내부 인테리어를 준비하는 듯한 모습도 봤다.

 

 

여기는 아직 가게들이 안 들어온 것 같다.

 

 

4~5년 전에는 이런 모습이었다.

 

 

여기도 리모델링을 하는 모습이 보였다. 골목 안쪽으로도 생각보다 깊게 들어갔다.

 

 

이 건물이 바로 연예인 고ㅅㅇ씨가 약 40억을 주고 구입했다는 건물이다. 그 건물인지 모르고 사진을 찍었고, 나중에 기사를 보고 알았다. 대지면적은 54평. 이 건물에 뭐가 들어올지 무척 궁금하다. 광나루로11길이 도로폭이 좁아서 따로 주차공간이 없는 편이다. 그래서 그런지 위 건물은 건물 앞과 옆으로 주차공간을 확보했다.

 

 

 

 

이 건물은 과거에는 아래와 같은 모습이었다.

 

건축 중 - 21년 7월과 10월

 

 

21년 5월 - 철거한 상태

 

 

21년 2월

이전에도 그렇게 나쁘지 않은 모습이었다. 다만 겉에만 리모델링을 했는지 1층이 무척 복잡해 보인다.

 

 

18년 4월

외벽 리모델링을 하기 전의 모습이다.

 

이렇게 광나루로11길 송정리단길의 과거와 현재를 살펴봤다. 최근 4~5년 사이에 많은 변화가 있었는데, 앞으로의 모습이 더욱 기대된다.

+ Recent posts